전체 글(162)
-
22. 발전기와 계통 주파수 저하와의 관계
22. 발전기와 계통 주파수 저하와의 관계 앞에서 병렬운전하는 두 발전기의 부하 분담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확인해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6 21. 발전기의 부하 분담량 조정 과정 21. 발전기의 부하 분담량 조정 과정 부하가 연결되어 있는 계통에 발전기들을 병렬운전시키면 발전기들은 부하를 나눠서 분담하게 된다. 이때 부하 변화에 따라 발전기들이 부하를 어떻게 분담 yyxx.tistory.com 이 과정에서 주파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두 발전기의 무부하속도 설정치를 조정했다. 그렇다면 왜 주파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조정할까? 계통의 주파수가 떨어지면 발전기의 운전이 힘들어지고 발전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계통의 주파수가 떨어졌을 때 발전기가 얼마나 버틸 수 있어야 할..
2021.06.16 -
21. 발전기의 부하 분담량 조정 과정
21. 발전기의 부하 분담량 조정 과정 부하가 연결되어 있는 계통에 발전기들을 병렬운전시키면 발전기들은 부하를 나눠서 분담하게 된다. 이때 부하 변화에 따라 발전기들이 부하를 어떻게 분담하게 될지는 발전기의 조속기 특성인 '속도조정률'에 따라 결정된다. 발전기가 '속도조정률'에 따라 어떻게 부하분담량이 변하게 되는지, 이 분담량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어떤 과정을 거쳐 부하 분담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1. 발전기 '속도조정률'에 따른 부하 분담 증가량 2. 발전기 부하 분담량 조정 1. 발전기 '속도조정률'에 따른 부하 분담 증가량 발전기가 속도조정률에 따라 어떻게 부하분담을 가져가는지는 앞에서 조속기 특성과 함께 알아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4 20. 동기발전기..
2021.06.11 -
20. 동기발전기 조속기(Governor) 특성을 알아보자.
20. 동기발전기 조속기(Governor) 특성을 알아보자. 동기발전기에는 조속기(Governor)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란 무엇인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1. 조속기(Governor)란? 2. 조속기의 동작 3. 조속기의 속도조정률 4. 속도조정률에 따른 부하분담 (조속기 자유운전 Governor Free) 1. 조속기(Governor)란? 조속기(Governor)란 발전기 운전 시 터빈을 일정한 범위의 속도로 운전할 때 사용하는 제어장치이다. 동기발전기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만들어낸다. 유효전력은 터빈이 회전하면 회전자(계자)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생긴 자기장의 변화가 고정자(전기자)에 영향을 주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유효전력의 공급은 터빈의 회전에 영향을 받는다. 무효전력은 ..
2021.06.05 -
19. 동기발전기 계통 병입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19. 동기발전기 계통 병입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앞에서 동기발전기가 계통에 투입될 때 맞춰줘야 하는 동기화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2 18.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전압, 위상, 주파수) 18.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전압, 위상, 주파수) 새로운 발전기를 계통에 병입시키는 것은 발전기를 병렬운전시키는 것과 같다. 발전기를 병렬운전하기 위해서는 '동기화 조건'을 만족시켜 yyxx.tistory.com 계통의 전압, 위상, 주파수와 투입할 발전기의 전압, 위상, 주파수를 맞춰줘야 했다. 이 세 가지를 맞추지 않으면 과도한 전류와 전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했다. 이번에는 어떤 순서로 발전기가 계통에 투입되는지 알아보자. 1. 발전기의 계..
2021.05.28 -
18.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전압, 위상, 주파수)
18.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전압, 위상, 주파수) 새로운 발전기를 계통에 병입시키는 것은 발전기를 병렬운전시키는 것과 같다. 발전기를 병렬운전하기 위해서는 '동기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동기화 조건으로 1. 전압의 크기 2. 위상 3. 주파수 를 맞춰줘야 한다. '동기화 조건'을 왜 만족시켜야 하는지, 만족시키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 + 상회전 방향 1. 전압의 크기 2. 위상 3. 주파수 + 상회전 방향 동기화 조건을 맞추기 이전에 당연히 상회전 방향은 맞추고 시작해야 한다. 두 개의 발전기의 상회전 방향이 다르면 변압기 병렬운전조건에서 봤던 것처럼 순환전류가 굉장히 크게 발생한다. 순환전류에 의해 큰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고 소손이 발생할 수..
2021.05.23 -
17. 동기발전기 자기여자현상(self-excitation)
17. 동기발전기 자기여자현상(self-excitation) 동기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이란 무엇인지, 발생 과정, 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1. 동기발전기 자기여자현상이란? 2. 자기여자현상이 발생하는 과정 (단거리, 장거리 송전선로 비교) 3. 자기여자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조건 1. 동기발전기 자기여자현상이란? 발전기 자기여자현상이란 발전기가 장거리 무부하 송전선로를 충전할 때, 충전전류 영향으로 발전기 단자전압이 정격전압 이상으로 순식간에 증가하는 현상이다. 동기발전기 등가회로를 보면 발전기에서 만들어진 유기기전력(E)이 계통쪽(단자쪽)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이 유기기전력(E)에 의해 충전전류가 흐르면서 무부하 송전선로가 충전된다. 이때 발전기 단자전압이 정격전압 이상으로 순식간에 상승할 수 있다. 이런..
2021.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