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2)
-
3. 타이머(Timer) 시퀀스 회로
3. 타이머(Timer) 시퀀스 회로 타이머(Timer)에 대해 알아보고 타이머 시퀀스 회로 동작을 해석해보자. 1. 타이머(Timer)란? 2. 타이머 구조, 접점 3. 타이머 시퀀스 회로 1. 타이머(Timer)란? 타이머(Timer)는 시간을 잰다는 뜻이다. 일상생활에서 시간을 잴 필요가 있는 상황은 언제일까? 예를 들면 선풍기를 켜고 나서 30분 후에 자동으로 꺼지게 하고 싶은 경우이다. 일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어떤 장치를 가동하고 싶거나 정지시키고 싶을 때 타이머가 필요하다. 앞에서 배운 푸시버튼과 릴레이 접점에는 시간지연기능이 없다. https://yyxx.tistory.com/181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시퀀스의 ..
2021.07.26 -
2. 릴레이(Relay)와 자기유지 시퀀스 회로
2. 릴레이(Relay)와 자기유지 시퀀스 회로 릴레이(Relay)에 대해 알아보고 릴레이를 이용한 자기유지회로를 공부해보자. 1. 릴레이(Relay)란? 2. 자기유지회로(self hold circuit) 1. 릴레이(Relay)란? 릴레이는 푸시버튼(Push-Button) 회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https://yyxx.tistory.com/181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시퀀스의 기본적인 형태를 알아보고 회로에서 사용되는 스위치에 대해 공부해보자. 1. 시퀀스의 기본적인 형태 2. 스위치 3. 푸시버튼(Push-Button)이란? 4. 푸시 yyxx.tistory.com 아래는 푸시 버튼 회로이다. 최초 아무..
2021.07.22 -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1. 푸시버튼(Push-Button) 시퀀스 회로 시퀀스의 기본적인 형태를 알아보고 회로에서 사용되는 스위치에 대해 공부해보자. 1. 시퀀스의 기본적인 형태 2. 스위치 3. 푸시버튼(Push-Button)이란? 4. 푸시버튼 시퀀스 회로 1. 시퀀스(Sequence)의 기본적인 형태 우리가 살고 있는 집에는 전기 선이 두 가닥 들어온다. (220V) 전기라고 하는 건 한쪽으로 들어와서 부하를 거쳐서 반대편으로 가기 때문에 부하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아래와 같이 부하를 램프라고 하면 전기가 램프를 통과해 가면서 램프에 불이 들어올 수 있게 한다. 램프 이외에도 집에 있는 부하들, 예를 들면 냉장고, 히터, 선풍기 등은 이렇게 전기가 흐르면서 동작하게 된다, 만약 중간에 선이 끊어진다면 부하는 동작하지..
2021.07.14 -
25. 이중여자 유도발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25. 이중여자형 유도발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앞 시간에 유도전동기와 유도발전기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9 24. 유도발전기 - 유도전동기와의 차이 24. 유도발전기 - 유도전동기와의 차이 앞서 제동권선(Damper Winding)에서 동기기와 유도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8 23. 동기기 제동권선(Damper winding)의 역할 23. 동기기 댐.. yyxx.tistory.com 유도기는 대표적으로 권선형(이중여자형)과 농형으로 나눠진다. 오늘은 이 중 권선형(이중여자형) 유도발전기가 어떻게 발전기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왜 많이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1. 유도기에서 무효전력의 필요성 2. 이중여..
2021.07.07 -
24. 유도발전기 - 유도전동기와의 차이
24. 유도발전기 - 유도전동기와의 차이 앞서 제동권선(Damper Winding)에서 동기기와 유도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yyxx.tistory.com/178 23. 동기기 제동권선(Damper winding)의 역할 23. 동기기 댐퍼권선(Damper winding)의 역할 동기기 회전자 표면에는 특수한 바(bar)를 넣고 각 끝을 단락 시킨 구조의 제동권선이 존재한다. 유도전동기의 농형회전자와 유사한 구조인데 동기기에서 yyxx.tistory.com 유도발전기를 알기 위해서는 유도전동기의 원리에 대해 알아야 한다. 유도전동기를 다시 공부해보고 유도발전기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1. 유도전동기의 원리 2. 유도발전기 - 유도전동기와의 차이 1. 유도전동기의 원리 유도발전기..
2021.06.29 -
23. 동기기 제동권선(Damper winding)의 역할
23. 동기기 댐퍼권선(Damper winding)의 역할 동기기 회전자 표면에는 특수한 바(bar)를 넣고 각 끝을 단락 시킨 구조의 제동권선이 존재한다. 유도전동기의 농형회전자와 유사한 구조인데 동기기에서 제동권선이 왜 필요한지 알아보자. 1. 동기기 제동권선(Damper winding) 구조 2. 유도기 동기기 차이 3. 동기기 제동권선 역할 4. 제동권선 난조 방지, 기동토크 발생 원리 1. 동기기에서 제동권선(Damper winding) 구조 아래는 동기기에서 제동권선을 나타냈다. 동기기의 회전자 표면에 특수한 바(bar)를 넣고 각각의 끝을 단락 시킨 구조로 유도전동기의 농형회전자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농형 유도전동기 https://yyxx.tisto..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