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 정방향,역방향 회전

2021. 9. 13. 15:16전기공부/시퀀스

9.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 정방향,역방향

전동기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정역운전회로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역운전회로란
2. 정역운전회로 구조
3.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1. 정역운전회로란

정역운전회로란
정방향,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회로이다.

정역운전회로를 이용해서 3상 유도전동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정역운전회로를 이용하면 원할 때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역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정역운전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보면
(1) 엘리베이터에 있는 도르래의 줄에 연결된 전동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냐 역방향으로 회전하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위로 올라가기도, 아래로 내려가기도 한다.
(2) 컨베이어 벨트의 전동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냐 역방향으로 회전하냐에 따라서 물건을 보낼 수도 가져올 수도 있다.
(3) 전기드릴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못을 박기도하고 빼내기도 한다.


2. 정역운전회로 기본 구조

상단에서 R,S,T 3상이 내려온다고 해보자.

(1) RST상이 그대로 3상 유도전동기로 들어가면 유도전동기는 정방향 회전한다.

R,S,T상 그대로 내려오면 3상 유도전동기 정방향 회전



(2) RST상 3개의 선 중 2개의 임의의 선이 교체되면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R,S,T상 중 2개 선이 바뀌면 3상 유도전동기 역방향 회전

RS, ST, RT 어떤 것이 바뀌어도 상관없다.


임의의 2개의 선을 바꾸면 회전자계의 방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유도전동기가 반대로 회전한다.
관련 내용은 유도전동기에서 공부해보았다.
https://yyxx.tistory.com/86

3.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2)

3.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2)  앞에서 전동기의 회전원리와 유도전동기에서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동기는 전류공급 방식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유도전동기로 나눌

yyxx.tistory.com




그런데 회전방향을 바꾸고 싶을 때마다 드라이버로 결선을 풀어서 두개의 상을 바꿀 수는 없다.
이때 MC(전자접촉기)를 넣으면 접점을 뗐다 붙였다 하는 것만으로 상을 바꿀 수 있다.



아래는 3상 유도전동기 정역운전회로 기본 형태이다.

3상 유도전동기 정역운전 회로 기본형태

3상 유도전동기 회로에 MC(전자접촉기) 접점을 넣어서 정역운전을 가능하도록 했다.



(1) 3상 유도전동기 정방향 회전

MC1 접점을 닫는 경우 3상 유도전동기가 정방향 회전 

MC1 접점을 붙이게 되면 3상 유도전동기는 정방향 회전하게 된다



(2) 3상 유도전동기 역방향 회전

MC2 접점을 닫게 되면 3상 유도전동기 역방향 회전

MC2 접점을 붙이게 되면 3상 유도전동기는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 여기서 주의할 점은 MC1 접점과 MC2 접점을 동시에 붙이면 안 된다. S상과 T상이 닿는 단락사고가 발생한다.
그래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록 회로를 반드시 정역회로에 넣어야 한다.
https://yyxx.tistory.com/186

5. 인터록(Interlock) 시퀀스 회로 - 동시에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회로

5. 인터록(Interlock) 시퀀스 회로 - 동시에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회로 앞에서 푸시버튼, 릴레이, 타이머, 플리커에 대해 공부했다. 이번엔 인터록(Interlock)이 무엇인지 인터록 시퀀스 회로의 형태,

yyxx.tistory.com



3.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실제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를 확인해보자.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예시

회로에 MC1접점, MC2접점을 설치해서 정방향 운전과 역방향 운전이 모두 가능하게 했다.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배선용차단기(MCCB) 올리기

정역 운전 시퀀스 회로 - MCCB(배선용차단기) ON


배선용차단기를 올리면 주회로 쪽으로는 MC1,2 주접점이 열려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보조회로 쪽의 EOCR에 전원이 들어가게 된다.



(2) 푸시버튼(PB1) 누르기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 PB1(푸시버튼) 눌렀다 뗐을 때

PB1(a)을 손으로 눌렀다 떼면 전자접촉기(MC1)가 여자된다.
MC1이 여자되면서 MC1 보조접점이 닫혀서 자기유지가 가능해진다.
MC1이 여자되면서 MC1 주접점이 닫혀서 유도전동기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PB1(a)를 눌렀다 뗄 때 PB1(b)는 열렸다 닫히므로 인터록 기능을 한다.


(3) 푸시버튼(PB2) 누르기

정역운전 시퀀스 회로 PB2(푸시버튼) 눌렀다 뗄 때

유도전동기가 정방향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PB2(a)를 손으로 눌렀다 떼 보자.
PB2(a)를 누르는 순간 PB2(b)가 열리므로 MC1 여자가 해제된다. (인터록 기능)
MC1여자가 해제되면서 MC1보조접점이 열리면서 자기유지가 해제된다,
MC1여자가 해제되면서 MC1주접점이 열린다.

PB2(a)를 누르는 순간 전자접촉기(MC2)가 여자된다.
MC2가 여자되면서 MC2 보조접점이 닫혀서 자기유지가 가능해진다.
MC2가 여자되면서 MC2 주접점이 닫혀서 유도전동기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4) 푸시버튼(PB0) 누르기

PB0를 손으로 눌렀다 떼면 전자접촉기(MC1, MC2)의 여자가 해제되면서 유도전동기가 정지하고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