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부/전자기학(22)
-
11. 철심의 자기쌍극자와 자화특성곡선에 대해 알아보자.(1)
11. 철심의 자기쌍극자와 자화특성곡선에 대해 알아보자.(1) 철심은 '강자성체'이다. 자성체란 자기장 중에 위치할 때 '자화'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말한다. 자화란 자석이 아닌 물체가 자석의 성질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철을 자석에 문지르면 자석의 성질을 가지게 된다. 철심은 대표적인 '강자성체' 인데 강자성체란 영구 자석에 의해 자성을 가지게 되면 외부의 자기장이 없어져도 스스로 자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이런 특징 때문에 철심은 전기 재료 중에서 아주 중요한 재료이다. 변압기, 발전기, 모터 등 각종 전력기기장치에 철심을 사용하므로 철심의 특성에 대해 아는 것은 중요하다. 철심의 자화특성곡선을 그려보고 그 특징을 확인해보자. 1. 자성체와 자기쌍극자모멘트 2. 자화특성..
2020.10.07 -
10. 기계력에 의한 설비 손상의 예시
10. 기계력에 의한 설비 손상의 예시 앞에서 기계력(자기력)이 위험한 이유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yyxx.tistory.com/115 9. 기계력(자기력)이 위험한 이유 9. 기계력(자기력)이 위험한 이유 1. 자기력의 부정적인 이용이 기계력이다. 2. 기계력이 위험한 이유 1. 자기력의 부정적인 이용이 기계력이다. 앞에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yyxx.tistory.com 설비 내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한 기계력(자기력)은 설비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기계력은 전류의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단락전류 발생 시에 아주 큰 기계력이 발생하여 위험하다. 또한 단락전류는 대칭파형이 아니라 비대칭파형이기 때문에 대칭파형보다 훨씬 큰 Peak치의 전류가 발생하여 더욱 위험했다. 이번에..
2020.09.28 -
9. 기계력(자기력)이 위험한 이유
9. 기계력(자기력)이 위험한 이유 1. 자기력의 부정적인 이용이 기계력이다. 2. 기계력이 위험한 이유 1. 자기력의 부정적인 이용이 기계력이다. 앞에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은 자기력의 크기 F = J X B 전류와 자기장이 존재하면 전류와 자기장의 외적으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자기력을 의도적으로 이용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내지만 의도치 않게 생겨나면 부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긍정적인 효과는 대표적으로 '모터(전동기)'이다. N극과 S극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오른쪽으로 발생하고 있고 전류가 회전자코일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때 각각 N극과 S극측의 전류와 자기장 방향을 이용하여 자기력의 크기 F = J X B 이 공식에 의해..
2020.09.25 -
8.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2)
7. 도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2) 1. 도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 이해 2. 외적으로 자기력 방향을 알 수 있다. 3. 두 도체가 있을 때 자기력의 방향 확인 (전자흡인력과 전자반발력) 2. 외적으로 자기력 방향을 알 수 있다. 먼저 자기력의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외적'을 알아야 한다. 외적은 간단히 말하면 회전이라고 보면 된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외적을 통해 어떻게 자기력 방향을 알아낼지 익히고 가자. (1) A X B = C (외적) 먼저 외적을 하려면 오른손을 들고 엄지 모양을 만들면 된다. A벡터 외적 B벡터 이므로 ①엄지 제외한 네 손가락이 향하는 방향이 A에서 B방향이여야 한다. ②그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들면 엄지손가락 방향이 힘의 방향인 C벡터이다. (2..
2020.09.18 -
7.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1)
7.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1) 전류가 흐를 때 주변에 나침반을 두면 나침반이 회전한다.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어떠한 힘이 발생해서 나침반에 영향을 준 것이다. 여기서 나침반에 영향을 준 힘은 '자기력'이다. (자기력이 영향을 미치는 공간 = 자기장) 앞에서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류가 발생하면 자기장이 생기고, 자기장이 발생하면 전류가 생겼다. 전류와 자기장은 서로의 원인이자 결과였다. 둘은 차원이 다르지만 항상 같이 존재했다. 이번에는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1. 도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 이해 2. 외적으로 자기력 방향을 알 수 있다. 3. 두 도체가 있을 때 자기력의 방향 확인 1. 도체에 작용하..
2020.09.17 -
6.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
6.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 1. 전류란 무엇인가? 2. 전류가 발생하면 자기력이 발생한다. (자기력이 영향을 미치는 공간 = 자기장) 3.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 1. 전류란 무엇인가? 전하가 이동하면 그것이 곧 '전류'이다. 물질을 아주 작게 쪼개면 물질은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는 핵(중성자, 양성자)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아무런 자극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원자는 중성 상태이다. (양성자와 전자의 개수가 같다.) 만약 외부에서 에너지가 가해져서 원자에서 전자가 하나 떨어져 나갔다고 생각해보자. 위처럼 전자가 하나 떨어져 나가면 원래의 원자는 전자(3개)보다 양성자(4개)의 개수가 많아져서 '양전하'가 된다. 또한 떨어져 나간 자유전자는 '음전하'가 된다. 중성상태가 아닌 '양전하' '음전..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