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멀티테스터기 3상교류모터 점검하기

2021. 12. 26. 16:32전기공부/전기상식

20. 멀티테스터기 3상교류모터 점검하기

디지털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면 3상교류모터 내부에 있는 코일의 단선, 정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 확인하는 지 알아보자.


1.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2. 3상교류모터 코일 상태 확인



1.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디지털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3상교류모터의 내부 코일 상태를 확인하기 전에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의 구조와 회전원리에 대해 가볍게 확인하고 가자.

3상교류모터에 대해서는 유도전동기 파트에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전기공부/전동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tistory.com)

'전기공부/전동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전기 관련 정보, 일상에서 유용한 정보를 다루는 블로그입니다.

yyxx.tistory.com



유도전동기의 구조를 확인해보면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져있다.

유도전동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자는 고정되어 있는 부분으로 3상 전기가 들어오고
회전자는 회전하는 부분이다.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는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회전 원리(회전자계, 유도전류)

고정자에 3상 교류 전기가 들어오면 회전자계가 생성된다.
그러면 회전자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회전자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면 회전자는 고정자의 회전자계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https://yyxx.tistory.com/86

3.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2)

3. 유도전동기의 회전 원리(2)  앞에서 전동기의 회전원리와 유도전동기에서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동기는 전류공급 방식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유도전동기로 나눌

yyxx.tistory.com



그렇다면 유도전동기에서 나오는 선은 총 몇 가닥일까?

3상교류전기가 들어오는 고정자 쪽 코일을 간단하게 다시 그려보면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에서 나오는 가닥수

R,S,T 상이 들어가는 쪽 3가닥, 나오는 쪽 3가닥
총 6가닥의 선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3상교류모터 코일 상태 확인

그러면 디지털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의 내부 코일 상태를 체크해보자.

위에서 확인해 보았듯이 3상교류모터를 열어보면 6가닥의 선이 나온다.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나오는 가닥수

주기가 되어있지 않다면 육안으로 6가닥 선이 어떤 선인지 구분할 수가 없다.
이때 디지털 멀티테스터기의 도통기능을 이용하면 어떤 선이 어디와 연결되어 있고 단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멀티테스터기의 파란스위치를 도통기능에 위치시킨 후
리드봉 한쪽을 1번 선에 대고 다른 쪽 리드봉을 2번부터 6번까지 대보면 1번과 연결된 선에 리드봉이 닿았을 때 멀티테스터기에서 부저가 울리게 된다.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연결선 찾기

1번과 연결된 선을 찾으면 그 두 선은 따로 빼놓고 다른 선들도 마찬가지 과정을 거치면 6가닥의 선 중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선 3쌍을 찾을 수 있다.
선 중에 단선된 곳이 있다면 그 선은 도통테스트를 했을 때 테스터기에서 부저가 울리지 않으므로 단선상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찾은 2개의 선 3쌍의 내부 코일 정상상태 역시 디지털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멀티테스터기의 파란스위치를 저항측정기능에 위치시킨 후
3쌍의 2개의 선들의 코일 저항값을 찍어보면 된다. 이렇게 저항값을 찍어 보았을 때 다른 선들의 저항값과 비교하여 현저히 차이나는 선이 있다면 내부코일의 이상 가능성이 있다.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내부코일 저항 측정


이런 방식으로 디지털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3상교류모터(유도전동기) 내부 코일의 정상여부를 점검해 볼 수 있다.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점검하는 방식은 임시적인 방법이고 메가테스터기(절연저항계)를 이용하면 확실하게 내부코일이 절연파괴가 돼서 누전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