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동기발전기의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단락비, 동기임피던스)

2021. 4. 21. 00:15전기공부/발전기

14. 동기발전기에서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단락비, 동기임피던스)

발전기 설계에 있어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의 크기는 중요한 요소이다.
동기발전기에서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는 무부하시험과 단락시험을 통해 알 수 있다.

무부하시험을 하면 무부하특성곡선을 얻을 수 있고
단락시험을 하면 단락특성곡선을 얻을 수 있다.

두 곡선을 그려보고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를 확인해보자.


1. 동기발전기 무부하시험 - 무부하특성곡선
2. 동기발전기 단락시험- 단락특성곡선
3. 발전기특성곡선과 동기임피던스
4. 단락비(Short Circuit Ratio)



1. 동기발전기 무부하시험 - 무부하특성곡선

동기발전기 무부하시험은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무부하 즉, 개방한 상태로 진행한다.
이 상태에서 계자전류를 서서히 올려가며 전압, 전류 특성을 얻어낸다.

앞의 8. 동기발전기 V곡선에서 확인한 동기발전기 간이등가회로를 보자.
yyxx.tistory.com/162

8. 동기발전기 V곡선 (과여자, 저여자 특성)

8. 동기발전기 V곡선 (과여자, 저여자 특성) 동기발전기의 계자(자석)는 여자기에 의해 공급된 계자전류에 의해 여자 된다. 그로 인해 자기장을 생성하고 전력을 만들 수 있다. 계자전류에 따

yyxx.tistory.com

동기발전기 간이등가회로

동기발전기 간이등가회로에서 유기기전력(E)단자전압(V)에 전압강하분(jXs x I)이 더해진 값과 같다.


위의 간이등가회로에서 무부하 조건을 위해서는 회로를 개방시켜야한다.
이 상태에서 발전기 회전속도가 일정하면 무부하시험을 할 조건이 충족된다.
회로가 개방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I)가 0A가 된다.

동기발전기 무부하시험을 위해 개방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면 동기발전기 식 E = V + (jXs x I) 에서 전류(I)가 0A이므로 E = V 가 된다.
발전기의 유기기전력(E) 단자전압(V)이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무부하시험을 진행한다.
계자전류(If)를 0A부터 쭉 올려가면서 시험한다.
계자전류(If)를 올리면 유기기전력(E)의 크기가 점점 커진다.

계자전류(If)가 유기기전력(E)에 영향을 주는 과정은 앞에서 확인해봤으니 넘어간다.
yyxx.tistory.com/159

5. 동기발전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하는 과정

5. 동기발전기에서 전기자 반작용(armature reaction)이 발생하는 과정 전기자 반작용(armature reaction)이란 발전기나 전동기에서 전기자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속이 주계자 자속에 미치는 반작용이

yyxx.tistory.com



계자전류(If)를 올리면 유기기전력(E)의 크기도 같이 올라가고
E = V 인 상태이므로 단자전압(V)의 크기도 올라간다.

E = V 이므로 위와 같은 선형적인 곡선이 나올 거라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실제로는 무부하 시험을 진행했을 때 아래와 같은 비선형적인 무부하특성곡선이 나타난다.

동기발전기 무부하특성곡선

계자전류(If)가 증가하면 철심이 포화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곡선이 비선형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2. 동기발전기 단락시험 - 단락특성곡선

단락시험은 무부하시험과는 다르게 전기자측을 3상단락 시켜놓은 상태에서 시험을 진행한다.

회로가 단락 되면서 단자전압(V)은 0V가 된다.

동기발전기 단락시험을 위해 단락시키면 단자전압이 0v가 된다.

동기발전기 간이등가회로식 E = V + (jXs x I)에서 V가 0이 되므로
E = (jXs x I)가 된다.

단락시험에서도 계자전류(If)의 크기를 키워가며 시험을 진행한다.
계자전류(If)를 끌어올리면 유기기전력(E)의 크기가 커진다.

E = (jXs x I) 에서 동기임피선스(jXs)는 일정한데 E가 올라가면 전기자전류(I)의 크기도 올라간다.

여기서 계자전류(If)와 전기자전류(I)의 관계를 나타낸 게 단락특성곡선이다.

동기발전기 단락특성곡선

단락특성곡선에서는 무부하특성곡선과는 다르게 선형적 증가 형태를 볼 수 있다.
단락시험에서는 철심이 잘 포화되지 않는데 이유는 전기자 전류(I)에 의해 전기자반작용 자속(φI)이 등장해서
계자전류(If)가 만드는 주자속(φf)을 상쇄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앞에서 확인해보았다.
yyxx.tistory.com/159

5. 동기발전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하는 과정

5. 동기발전기에서 전기자 반작용(armature reaction)이 발생하는 과정 전기자 반작용(armature reaction)이란 발전기나 전동기에서 전기자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속이 주계자 자속에 미치는 반작용이

yyxx.tistory.com



3. 발전기 특성 곡선

위에서 확인한 '무부하특성곡선'과 '단락특성곡선'을 겹쳐놓으면
'발전기특성곡선'이다.

발전기 특성곡선

여기에서 무부하특성곡선의 단자전압(V)를 단락특성곡선의 전기자전류(I)로 나누면 동기임피던스를 그릴 수 있다.
( 동기임피던스 = 단자전압(V)/전기자전류(Is) )
무부하특성곡선이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에 동기임피던스값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철심이 포화되기 전까지는 일정한 값이었다가 무부하특성곡선에서 철심이 포화되는 순간 동기임피던스 값이 달라진다.



동기임피던스를 정의하자면 정격전압(Vn)단락전류(Is)의 비이다.

발전기 특성곡선 동기임피던스

(여기서 정격전압(Vn)은 무부하특성곡선에서 계자전류(If1)가 가리키는 발전기 정격전압이고
이 계자전류(If1)가 단락특성곡선에서 가리키는 전류가 단락전류(Is)이다.)



4. 단락비(Short Circuit Ratio)와 동기임피던스

단락비는 무부하특성곡선에서 정격전압(Vn)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계자전류(If1)
단락특성곡선에서 발전기의 정격전류(In)를 만드는 계자전류(If2)의 비로 정의된다.

단락비(Short Circuit Ratio)의 정의



이는 곧 계자전류(If1)가 단락특성곡선에서 가리키는 값인 단락전류(Is)
계자전류(If2)가 단락특성곡선에서 가리키는 값인 정격전류(In)의 비와 동일하다.

단락비(Short Circuit Ratio)



단락비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격전류(In) 대비해서 몇 배단락전류(Is)가 흐르냐는 의미이다.

단락비란? 정격전류의 몇 배의 단락전류가 흐르는가


단락전류 고장계산 식을 보면
단락전류 Is = (100/%Z) x In 이다.

단락전류 고장계산식



이 식을 단락비(Is / In)로 만들어주면
(100/%Z)몇 배인지를 가리키는 값이 된다.

100/%Z 는 몇배를 뜻하게 됨


(100/%Z)에서 %는 100을 기준으로 한다.
이것을 1을 기준으로 하는 PU값으로 바꿔주면
(100/%Z) ----> (1/Zs(PU))가 된다.

Zs(pu) = 동기임피던스

그러면 여기의 Zs(PU)값이 동기임피던스이다.


다시 정리해서 써보면
단락비 = (If1/If2) = (Is/In) = (100/%Z) = (1/Zs(PU))

단락비는 동기임피던스의 역수와 같다.

단락비는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격전류에 대비해서 몇 배의 단락전류(Is)가 흐르냐는 의미이고
동기임피던스의 역수와 같다.


그러므로
(1)동기임피던스가 크면 단락비가 작아지고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가 작게 흐른다.

(2)동기임피던스가 작으면 단락비가 커지고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가 크게 흐른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발전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